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얀마 강진 방콕 건물 붕괴...규모 7.7 강진의 충격과 여파

by 최소귀녀 2025. 3. 28.
반응형

2025년 3월 27일 오후, 미얀마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미얀마와 약 1,000km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강한 진동이 감지되며, 도심 고층 빌딩 일부가 구조 손상을 입고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동남아시아를 강타한 규모 7.7 강진

2025년 3월 27일 오후, 미얀마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이 인근 동남아 국가들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은 심도 15km의 단층 파열로 분석되며, 진앙지는 미얀마 샨 주 근처로 알려졌습니다. USGS(미국 지질조사국)는 이번 지진을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는 대형 지진"으로 분류했습니다.

방콕 도심 건물 붕괴…예상치 못한 충격파

미얀마와 약 1,000km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강한 진동이 감지되며, 도심 고층 빌딩 일부가 구조 손상을 입고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태국 재난관리청에 따르면, 최소 3개 건물에서 붕괴 및 균열이 확인되었으며, 다수의 시민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강진이 판 경계 지역의 응력 누적 해소에 따른 결과로, 기존 예측보다 더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현재 피해 상황과 인명 피해

2025년 3월 28일 기준, 미얀마 현지에서는 5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전력 및 통신 인프라가 마비되어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인도, 중국, 태국 등 인접 국가들도 긴급 구조 및 지원을 준비 중입니다.

특히, 방콕에서는 붕괴된 건물 내부에 고립된 인원 수색이 계속되고 있으며, 도시의 구조 안전성 점검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왜 미얀마에서 강진이 발생했을까?

미얀마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는 지질학적 경계선에 위치해 있어 지진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입니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 단층대의 응력 누적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과거에도 이 지역에서는 규모 6~7 이상의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해왔습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몇 년간 축적된 지각 내 에너지가 폭발적으로 방출되며 이례적인 규모의 지진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대비 방안

지진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을 계기로 동남아 전역의 건축물 내진 설계 강화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지진 대피 훈련과 교육도 강화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방콕과 같은 대도시는 기존의 건물들이 대부분 지진 대비 설계가 미비한 경우가 많아,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도시 인프라 전반의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맺음말: 자연재해 앞에서의 공동 대응 필요

이번 미얀마 강진은 국경을 초월한 자연재해의 위력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사건입니다. 피해 복구는 물론, 향후 유사한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 협력 및 정보 공유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연의 경고 앞에서, 우리 모두는 공동의 책임을 가지고 준비해야 합니다.

© 2025 자연재해 리포트 블로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