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관세, 보복엔 재보복…中, '6대 대응 조치' 공개

by 최소귀녀 2025. 4. 9.
반응형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 위협에 맞서 '6대 대응 조치'를 공개하며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출처 : AFP

배 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의 상호 관세에 맞서 동일한 세율(34%)의 보복 관세를 예고하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은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6대 대응 조치 내용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은 다음과 같은 6가지 대응 조치를 공개했다:

  1. 미국산 대두, 수수 등 농산물에 대한 관세 대폭 인상
  2. 조류 인플루엔자 유행을 근거로 미국산 가금류 수입 금지
  3. 미국과의 펜타닐 협력 중단
  4. 미국 기업의 중국 내 조달 참여 제한 및 법률 자문 등 서비스 무역 제한
  5. 중국 내에서 막대한 독점 이익을 누리고 있는 미국 기업의 지식재산권 획득 상황 조사
  6. 미국 영화 수입 축소 또는 금지

 중국 정부의 입장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위협에 대해 "잘못에 잘못을 더한 것"이라며 "미국 측의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압박과 위협은 중국을 상대하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라며, "상호 존중의 기초 위에서 평등한 대화로 차이를 해결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미중 무역 전쟁의 심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34%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맞대응으로 미국산 제품에 34%의 관세를 추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굴하지 않고 50% 추가 관세를 경고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러한 상황은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에 미치는 영향

미중 무역 전쟁의 격화는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 모두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은 수출 감소, 환율 불안정, 투자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중국의 경기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공급망과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