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지하 터널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작업자 2명이 고립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13시간여 만인 4월 12일 새벽 4시 27분경, 20대 굴착기 기사 A씨가 지하 30m 지점에서 극적으로 구조되었다.
구조 상황
사고 발생 13시간여 만인 4월 12일 새벽 4시 27분경, 20대 굴착기 기사 A씨가 지하 30m 지점에서 극적으로 구조되었다. 구조 당시 A씨는 의식이 비교적 명료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대원들은 좁은 틈새와 무너진 철제 더미 속에서 수작업으로 구조물을 절단하고 토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A씨에게 접근했다. A씨는 구조 후 "와주어서 고맙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하지만,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작업자 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이며, 당국은 구조견과 중장비를 투입하여 수색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사고 발생 경위
사고는 4월 11일 오후 3시 13분경 발생했으며, 붕괴는 지하 터널 내부의 가운데 기둥(버팀목)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 전날 밤 9시 50분경, 작업자들이 쇳소리와 함께 기둥에서 균열을 발견하고 당국에 신고했으며, 이후 0시 30분부터 주변 도로가 통제되었다. 붕괴 당시, A씨는 굴착기 기사로, B씨는 안전진단 및 보강 작업을 위해 투입된 상태였다.
구조 작업의 어려움
지하 30m 깊이에서 발생한 붕괴 현장은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더했다. 구조대원들은 추가 붕괴 위험 때문에 중장비 투입에 신중을 기해야 했으며, 잔해물을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했다. 또한, 사고 현장 주변에서 가스 냄새가 감지되어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등 안전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 대피 및 피해 상황
사고 직후, 광명시는 추가 붕괴에 대비하여 인근 아파트 및 오피스텔 주민 2,400여 명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주민들은 시민체육관과 학교 등 8곳으로 분산 대피했으며, 대피령은 4월 12일 새벽 0시 10분에 해제되었다. 지하 공간 붕괴로 인해 지상 도로와 인근 상가 시설물 일부도 훼손되었다.
사고 원인 조사 및 향후 대책
국토교통부는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여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붕괴 위험이 있는 상태에서 안전진단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붕괴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특정 공법의 문제라기보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이 쌓여 사고로 이어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붕괴...작업자 2명 연락두절
2025년 4월 11일 오후 3시 17분께,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공사 현장(광명 양지사거리 부근)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작업자 2명이 연락 두절 상태다.
sbiz1.dyingwel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