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8

‘예’와 ‘네’ – 바른 대답 표현을 아시나요? 누군가 부를 때, 또는 질문에 긍정의 뜻으로 답할 때 ‘예’라고 해야 할까, ‘네’라고 해야 할까? 두 표현 모두 자주 쓰이지만 의미나 어감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1. ‘예’는 격식을 갖춘 표현상대에 대한 존중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공적 자리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선호되죠.예: “예, 알겠습니다.”2. ‘네’는 자연스러운 긍정 표현일상 대화에서 더 흔하게 쓰이는 표현으로, 부드럽고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예: “네, 지금 갈게요.”3. 요약 정리공식적 / 존댓말 → 예일상 / 구어체 → 네4. 결론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상황에 따라 어울리는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바른 언어습관입니다. 2025. 4. 12.
‘안 되다’ vs ‘안되다’, ‘않다’ vs ‘안다’ – 정확한 맞춤법 정리 한국어에서 띄어쓰기와 음절 구분이 중요한 대표적인 예가 바로 ‘안 되다 / 안되다’와 ‘않다 / 안다’입니다. 자칫하면 전혀 다른 뜻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해야 합니다.1. ‘안 되다’ – 부정 + 되다‘안’(부정 부사) + ‘되다’로, ‘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예: 지금 이러면 안 돼.2. ‘안되다’ – 상태 표현 (합성어)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로, 상태나 상황이 좋지 않을 때 씁니다.예: 정말 안된 일이네요.3. ‘않다’ – 부정의 보조 동사‘하지 않다’, ‘먹지 않다’처럼 행위를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예: 나는 그 말을 믿지 않아.4. ‘안다’ – 동사 ‘알다’의 활용‘알다’의 현재형입니다. ‘아는 것’과 관련된 표현이죠.예: 나는 그 사람을 안다.5. 결론안 된다 ↔ 안된 / 않.. 2025. 4. 12.
‘되’와 ‘돼’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하게 구분하기 국어 맞춤법에서 가장 많이 틀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되’와 ‘돼’입니다.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설명드립니다.1. ‘되’는 동사 ‘되다’의 어간‘되’는 동사 ‘되다’의 어간으로, 활용형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쓰입니다:되 + 지 = 되지되 + 는 = 되는되 + 어 = 되어예문: 이 일은 잘 되지 않을 것 같아.2. ‘돼’는 ‘되어’의 준말‘돼’는 ‘되다’ + ‘어’의 축약형으로, ‘되어’의 준말입니다. 실제로는 ‘되어’가 축약되어 ‘돼’가 되며, 주로 말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예문: 잘 돼서 다행이야. (→ 잘 되어)3. 구별하는 쉬운 팁‘돼’ 자리.. 2025. 4. 12.
‘다시’, ‘굳이’, ‘궂이’, ‘구지’ –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히 짚어보기 우리말에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다시’, ‘굳이’, ‘궂이’, ‘구지’는 SNS, 블로그, 댓글 등에서 자주 혼용되는 표현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네 단어의 정확한 맞춤법과 의미, 그리고 잘못된 표기 이유까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드립니다.1. ‘다시’ – 바르게 사용하는 대표 표현‘다시’는 자주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한 번 했던 일을 또 하는 경우 (예: 다시 시작하다)되돌아가거나 되풀이할 때 사용 (예: 다시 생각해보자)발음과 의미 모두 명확하여 비교적 오류가 적지만, ‘다시’를 다른 비슷한 음절의 단어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2. ‘굳이’ – 표준어이며 의미가 분명한 표현‘굳이’는 맞는 표현이.. 2025. 4. 12.
반응형